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문제풀이

두 용액

반응형

문제


KOI 부설 과학연구소에서는 많은 종류의 산성 용액과 알칼리성 용액을 보유하고 있다. 각 용액에는 그 용액의 특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정수가 주어져있다. 산성 용액의 특성값은 1부터 1,000,000,000까지의 양의 정수로 나타내고, 알칼리성 용액의 특성값은 -1부터 -1,000,000,000까지의 음의 정수로 나타낸다. 같은 양의 두 용액을 혼합한 용액의 특성값은 혼합에 사용된 각 용액의 특성값의 합으로 정의한다. 이 연구소에서는 같은 양의 두 용액을 혼합하여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려고 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용액들의 특성값이 [-2, 4, -99, -1, 98]인 경우에는 특성값이 -99인 용액과 특성값이 98인 용액을 혼합하면 특성값이 -1인 용액을 만들 수 있고, 이 용액이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이다. 참고로, 두 종류의 알칼리성 용액만으로나 혹은 두 종류의 산성 용액만으로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혼합 용액을 만드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산성 용액과 알칼리성 용액의 특성값이 주어졌을 때, 이 중 두 개의 서로 다른 용액을 혼합하여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두 용액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전체 용액의 수 N이 입력된다. N은 2 이상 100,000 이하이다. 둘째 줄에는 용액의 특성값을 나타내는 N개의 정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 수들은 모두 -1,000,000,000 이상 1,000,000,000 이하이다. N개의 용액들의 특성값은 모두 다르고, 산성 용액만으로나 알칼리성 용액만으로 입력이 주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출력


첫째 줄에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두 용액의 특성값을 출력한다. 출력해야하는 두 용액은 특성값의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두 개 이상일 경우에는 특성값의 최솟값이 가장 작은 숫자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5
-2 4 -99 1 98

예제 출력

-99 98


이 문제풀이의 방법은 먼저 주어진 특성값들을 절대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붙어있는 두개의 값들을 더해 절대값이 가장 작은 값을 저장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그래서 먼저 합병정렬로 정렬할때, 절대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야 하기 때문에 Math.abs() 를 써서 비교했다. 그리고 배열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붙어있는 수들을 더해 절대값이 가장 작은 숫자들을 출력하면 된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woSolution {
static int n;
static long [] temp = new long[100000];
static long [] arr;
public static void merging(long [] arr, int s1, int e1, int s2, int e2) {
int p = s1;
int q = s2;
int idx = 0;
while(p<=e1 && q<=e2) {
if(Math.abs(arr[p]) <= Math.abs(arr[q])) {
temp[idx++] = arr[p++];
} else {
temp[idx++] = arr[q++];
}
}
if(p>e1) {
for(int i=q; i<=e2; i++) {
temp[idx++] = arr[i];
}
} else {
for(int i=p; i<=e1; i++) {
temp[idx++] = arr[i];
}
}
for(int i=s1; i<=e2; i++) {
arr[i] = temp[i-s1];
}
}
public static void mergeSort(long [] arr, int start, int end) {
if(start >= end)
return;
else {
int mid = (start+end)/2;
mergeSort(arr, start, mid);
mergeSort(arr, mid+1,end);
merging(arr, start, mid, mid+1, end);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n = sc.nextInt();
arr = new long[n];
for(int i=0;i<n;i++)
arr[i]=sc.nextInt();
mergeSort(arr, 0, arr.length-1);
search(arr, 0, arr.length-1);
}
public static void search(long [] arr, int start, int end) {
long min = Long.MAX_VALUE;
int x = 0;
for(int i=start; i<=end-1; i++) {
long sum = Math.abs(arr[i]+arr[i+1]);
if(sum <= min) {
min = sum;
x=i;
}
}
if(arr[x] >= arr[x+1]) {
System.out.println(arr[x+1] + " " + arr[x]);
} else {
System.out.println(arr[x] + " " + arr[x+1]);
}
}
}


반응형

'알고리즘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시  (0) 2019.02.15
괄호  (0) 2019.02.10
구간의 합집합  (0) 2019.02.08
NN 단표  (0) 2019.02.04
숫자 개수 세기  (0) 2019.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