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택(Stack)은 선형구조로 삽입(push)와 삭제(pop)연산이 한쪽 끝에서만 수행되는 자료구조 이다.
마지막에 들어온 원소가 가장먼저 삭제 되므로 Last In First Out 또는 First In Last Out 이라고 불리고,
줄여서 LIFO 또는 FILO 라고 불린다.
원소를 삽입하는 연산을 push 라고 한다.
원소를 삭제하는 연산을 pop 이라고 한다.
만약에 스택의 사이즈만큼 원소가 꽉차있는데, 원소를 꽉찬 스택에 더 넣으려고 하면 Stack Overflow가 발생한다.
스택에 있는 모든 원소들을 삭제 시켰는데, 또 삭제 연산을 하게 되면 스택이 비어있기 때문에 Stack Underflow가 발생한다.
연습문제를 한번 풀어보자.
출처 : AlgorithmLABS
문제
이 문제에서는 스택을 구현한다. 스택은 다음 세 개의 연산을 지원한다.
- Push X : 스택에 정수 X를 push한다. 만약 스택이 꽉 차서 push를 할 수 없다면, “Overflow”를 출력한다.
- Pop : 스택에서 정수 하나를 pop한다. 만약 스택이 비어있어서 pop을 할 수 없다면, “Underflow”를 출력한다.
- Top : 스택의 top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이 비어있다면 “NULL”을 출력한다.
크기가 n인 스택에 m개의 연산을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의 편의를 위해서 Push는 “1”, Pop은 “2”, Top은 “3”으로 표현한다.
입력
첫째 줄에 스택의 크기 n, 연산의 개수 m이 주어진다. ( 1 <= n <= 100, 1 <= m <= 1,000 ) 두 번째 줄부터 연산이 주어진다. 1은 Push, 2는 Pop, 3은 Top 연산을 의미한다.
출력
연산의 결과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4 10
1 1
1 2
1 3
2
3
1 4
1 5
3
1 6
3
예제 출력 1
2
5
Overflow
5
예제 입력 2
4 11
1 1
1 2
1 4
3
2
3
2
3
2
3
2
예제 출력 2
4
2
1
NULL
Underflow
반응형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 (Tree) (0) | 2019.02.23 |
---|---|
원형 큐 구현하기 (0) | 2019.02.20 |
원형 큐 (Circular Queue) (0) | 2019.02.20 |
큐 구현하기 (0) | 2019.02.19 |
큐 ( Queue ) (0) | 2019.02.19 |